본문 바로가기
건강

코로나 백신 부작용 6가지 - 대처방법 및 피해보상 신청방법

by 연수건강 2021. 10. 23.
반응형

현재 국내 코로나 백신 접종률이 1차는 79% , 2차는 68%를 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일상 회복 전환을 위한 목표로 잡은 70%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만큼 빠르게 백신 접종을 진행하고 있다는 말이겠죠. 하지만 빠른만큼 부작용을 호소하시는 분들도 많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백신 접종 후 부작용과 대처방법 , 피해보상 신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코로나 백신 부작용

 

 

: 코로나 백신의 종류를 분류하지 않고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 있습니다. 백신을 맞은 팔 부위에 통증과 조홍 , 부어오르는 증상들이 발생하고 2~3일 정도 피로감 , 두통 , 근육통 , 오한 , 발열 , 구토 등의 증상들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유는 항체 형성 과정에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증상이라고 하니 크게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항체 형성이 활발할수록 증세가 더 심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래서 나이가 많으신 분들보다는 젊은 사람들에게서 이런 부작용이 크게 발생하고 있는 것을 우리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위 증상은 의사의 별도 진료가 필요없는 부작용이며 , 간단한 약과 휴식으로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사 진료가 필요한 이상 반응도 있는데 심각한 부작용 6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죠

 

① 심한 두통과 2일 이상 지속되는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를 먹어도 상태가 호전되지 않는 증상

 

② 구토가 심하고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

 

③ 호흡곤란 , 흉통 , 복부 통증

 

④ 접종 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나타나는 증상

 

⑤ 심근염 & 심낭염 증상 (호흡 시 통증이 있고 심장이 빨리 뛰고 실신까지 하게 됨)

 

⑥ 입술 , 얼굴이 붓고 온몸에 심한 두드러기 증상

 

: 기타 증상으로는 식욕이 완전히 사라지는 증상 , 만성피로 및 무기력 증상 , 시력 저하 , 반신마비 등의 다양한 증상들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뉴스나 인터넷에서 백신 이후에 목숨을 잃는 분들도 나타나고 있다고 하니 백신 접종 이후에 생기는 증상에 대해서 두렵고 무서울 수 있습니다. 그러니 위 부작용 보시고 증상이 나타나시는 분들은 바로 의사 진료를 받거나 119를 통해서 병원으로 가시길 바랍니다.

 

 

 

 

 

 

 

 2. 백신 부작용 대처방법

 

 

: 백신 접종은 1차보다는 2차 접종 후에 더 강한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신체가 면역력을 생성하고 있다는 정상적인 신호이며 3일 이내에 사라진다고 합니다.

 

 

그러니 1차 맞고 별 증상이 없다가 2차 때는 아프다고 하시는 것이 정상입니다. 백신 부작용이 발생했을 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죠

 

- 발열 , 근육통이 생긴 경우

: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해열제 , 진통제를 드시면 됩니다.

 

 

- 미열 이 생긴 경우

: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시고 무조건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 접종 부위 통증

: 통증이 나타나는 부위는 절대 문지르지 마시고 마른 수건 위에 냉찜질을 해주시면 좋습니다.

 

 

- 심근염 & 심낭염 증상 (호흡 시 통증이 있고 심장이 빨리 뛰는 증상)

: 이런 경우에는 119를 불러서 빨리 병원으로 가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3. 피해보상 신청 방법

 

 

: 백신 맞고 이상반응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상반응에 대하여 국가가 안전을 보장하는 차원에서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복잡하고 방법을 잘 몰라서 못하시는 분들도 많다고 하여 신고하는 방법 알아보도록 하죠. 신고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 국민비서 구삐를 통한 방법

:백신 접종 후 3일이 지나면 카톡을 통해서 '국민 비서 구삐' 설문지를 통해서 이상반응을 신고하는 방법인데 , 이것은 거의 답도 오지 않는 경우가 많고 아무런 연락이나 조치를 받지 못한다는 분들이 대부분이었으니 하는 게 크게 의미가 없다고 봐야겠죠

 

 

- 병원 방문 후 의사를 통해서 신고하는 방법

: 이상 반응 증상이 나타난 후 병원에 가셔서 백신 접종을 알려주고 이상반응 신고를 해달라고 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보통 1~2일 사이에 보건소 이상반응대응팀으로부터 연락이 온다고 합니다.

 

'보건소 > 시/도지사 > 질병관리청 ' 이렇게 3단계 심사 과정을 거쳐야 하고 보상금 여부도 최대 120일을 기다려야 알 수 있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