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자궁경부암 대표증상 5가지 - 정확한 원인 및 확실한 예방법

by 연수건강 2021. 8. 30.
반응형

여성들에게만 존재하는 기관인 자궁. 이 자궁 관련 질환 중에 국내에서 발생률이 높은 암이며 여성들에게 가장 손꼽히는 대표적인 암이 자궁경부암입니다. 정확한 원인이 밝혀져 있기 때문에 예방이 가능하죠.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자궁경부암의 원인 및 대표 증상 , 치료방법 ,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1. 자궁경부암 대표 증상

 

 

 

- 질 출혈 (비정상적임)

: 가장 흔한 증상 중에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나오는 질 출혈 증상입니다. 생리 기간도 아닌데 불규칙하게 출혈이 나타나며 , 폐경 이후에도 출혈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색깔이 어둡고 많은 양의 출혈이 발생합니다.

 

 

- 질 분비물 발생 및 자궁 악취

: 암에서 2차 감염으로 암 덩어리가 괴사를 했을 때 고약한 냄새와 분비물이 질에서 발생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 골반통 , 요통

: 암이 많이 진행되면 주위의 장기로 침범하여 요관이 막히고 신장이 붓고 , 허리가 아프거나 골반 안쪽 통증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체중 감소

: 암이 방광과 직장까지 전이 된 경우에는 배변 , 소변 장애나 체중 감소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체중 감소는 어느 암에서든 발생할 수 있는 증상 중에 하나죠.

 

 

- 빈혈

: 질 출혈이 초기에는 적지만 , 병이 진행되면 과다한 양의 출혈로 인해 빈혈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2. 자궁경부암 원인

 

 

: 자궁경부암이란 자궁에서 질에 연결된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자궁경부암의 원인은 아주 명확하게 밝혀진 암입니다.

 

 

다른 암들은 정확한 원인없이 몇 가지 요인들로 추측만 할 뿐인데 , 이렇게 명확하게 밝혀져 있다는 점은 아주 다행입니다. 왜냐하면 역으로 생각하면 그만큼 예방이 가능하다는 말이 되니까요.

 

자궁경부암은 일반적으로 성 접촉을 통해서 발생됩니다. 성 접촉을 통해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하게 되는데 , 이 고위험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자궁경부 상피세포를 공격하게 되면 세포가 변화를 일으키는 진행이 되면 암으로 변하게 되는 원리입니다.

 

단계 : 감염 > 경도의 증상(CIN 1) > 중도의 증상 (CNI 2) > 고도의 증상 (CIN 3) > 상피내암 > 자궁경부암

 

 

바로 암이 되는 것이 아니고 바이러스가 감염 후 오랜 시간(7~14년)에 걸쳐 변화를 일으켜 자궁경부암으로 발전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외에 영양소 결핍이나 비만 , 흡연 등으로 발생하기도 하는데 , 이건 거의 드문 경우라고 합니다.

 

 

 

 

 

 3. 치료방법 및 예방법

 

 

: 자궁경부암의 치료 방법은 수술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초기에는 자궁 경부 부위만 제거하게 되지만 , 암이 어느 정도 진행이 된 상황이고 다른 장기로 전이가 되었을 경우 자궁절제술이나 다른 장기의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치료 및 재발을 방지하거나 종양 크기를 줄이기 위해 수술 전 항암 요법을 시행합니다. 암세포의 생존과 관련된 혈관 성장 차단을 위한 표적 치료 와 방사선 요법을 시행하게 됩니다. 수술을 받을 수 없을 정도로 심한 경우에는 통증을 줄이기 위한 방사선 치료와 항암 치료를 병행해서 치료하게 됩니다.

 

 

*예방법

: 위에서도 말씀 드렸듯이 자궁경부암은 고위험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의해서 90% 이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예방접종을 하시면 됩니다.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은 성 경험 이전에 접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9~13세쯤 맞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합니다. 백신은 6개월 안에 3번 접종을 하셔야 합니다.

 

 

자궁경부암 같은 경우에는 치료보다 예방이 더 중요한 질환입니다. 백신을 통해서 70% 이상 예방이 가능하다고 하니 , 산부인과 방문 하셔서 예방 접종 꼭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