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심근경색 초기증상 5가지 - 심장마비 예방법

by 연수건강 2021. 10. 26.
반응형

주변에서 나이가 드신 분들 중에 갑자기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을 때가 종종 있으시죠? 이 돌연사의 원인 중 80% 이상이 심장마비로 인해 돌아가시게 됩니다. 그만큼 심장은 우리에게 있어서 중요하며 항상 관리해야 하는 부분인데요.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심혈관 질환 중 하나인 심근경색이 생기는 원인과 초기 증상 그리고 치료 및 예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심근경색 원인

 

 

: 심근경색은 심장에 산소와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이 혈전으로 인해 갑자기 막혀서 심장 근육이 손상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심근경색이 발생하게 되면 50%는 병원으로 이송되기 전에 사망하게 되며 치료를 받는다고 해도 사망할 확률이 높은 무서운 질환입니다.

 

심근경색이 생기는 원인을 보면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비만 , 당뇨 , 고혈압 , 운동 부족 , 스트레스 , 흡연 , 잘못된 식습관 등으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2. 심근경색 초기증상 5

 

 

: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심근경색은 전조증상이 발생하고 30분~1시간 이내에 갑자기 한 번에 막아버리기 때문에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전조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119를 부르셔서 병원에 가셔야 합니다.

 

 

그러면 심근경색의 초기증상 5가지 알아보죠.

 

① 가슴 통증

: 심장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면서 가슴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며 증상이 30분 이상 지속된다면 바로 119를 부르셔야 합니다. 30분도 늦다고 보고 10분 이상 나타나면 바로 응급실로 가셔야 합니다.

 

 

② 호흡 곤란

: 오른쪽 가슴과 상복부의 답답한 느낌이 들고 호흡이 힘들어지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③ 식은땀

: 가슴 통증이 나타나며 식은땀이 나타나 얼굴이 파랗게 되는 청색증이 생긴다면 바로 병원을 가셔야 합니다.

 

 

④ 구토 , 메스꺼움

: 가슴통증이 없고 구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체한 것과 비슷한 느낌이라 구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⑤ 어깨,팔,목 등으로 뻗치는 통증

: 어깨, 팔 , 목 등으로 뻗치는 듯한 심한 통증이 발생하게 되는데 뼈와 관련된 통증으로 생각해 정형외과를 찾기도 합니다.

 

 

 

 

 

 3. 치료 및 예방법

 

 

: 심근경색 증상이 나타나면 1시간 이내에 빠른 조치를 받아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목숨을 잃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혹시라도 증상이 나타나서 119를 불렀다면 아스피린 반 알을 섭취해서 혈액의 점성을 감소시켜 주고 대기해야 합니다.

 

병원에 가시면 관상동맥 확장 성혈 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혈관에 관을 넣어서 실시간으로 영상을 보면서 혈관에 좁아진 부분이나 막힌 부분을 뚫어주고 풍선이나 스텐트를 통해 혈관을 확장시켜주는 시술을 하게 됩니다.

 

또는 약물을 이용해서 막힌 혈관을 녹이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병원에 빨리 가셔서 신속하게 치료한다면 회복이 가능하지만 , 늦어지면 회복도 어렵고 사망에 이룰 수 있습니다.

 

 

※ 예방법

 

- 금연

: 담배는 니코틴과 일산화탄소에 의해 심장과 혈관에 나쁜 영향을 끼치고 혈액 속의 산소량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해 심장의 부담을 가중시키게 됩니다. 그러니 무조건 금연하셔야 합니다.

 

 

- 운동

: 꾸준한 유산소 운동을 통해서 혈압을 낮추고 심근경색을 예방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격한 운동은 오히려 심장에 무리를 줄 수 있고 , 특히 추운 날은 혈압이 급상승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 식습관 조절

: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해서 혈관에 찌꺼기가 쌓이고 혈관이 좁아지면서 고혈압이 생기고 심근경색도 나타나게 되니 , 육식보다는 채식위주의 식단과 짠 음식을 피하는 습관을 통해서 식습관을 관리하셔야 합니다.

 

 

- 스트레스 관리

: 스트레스를 받지 말라는 말은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사회생활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어찌 안받을 수가 있을까요? 하지만 가능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려고 노력하고 마음의 여유를 통해서 스트레스를 줄여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주기적인 건강검진

: 40대 이상이라면 주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서 몸 상태를 확인하여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일 것입니다.

 

 

반응형